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Dart_5 : Late 변수 - late는 초기 데이터 없이 변수를 선언할 수 있게 해주고 할당을 안했을 시 알려준다.  - late 키워드가 적용된 name 변수를 print 하려하면, dart가 막아준다.- name 안에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접근할 수 없다. - 우선 안에 어떤 데이터를 넣어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요약 : 평소에는 필요한 데이터를 알고 있기때문에 사용할 일이 많지 않지만, API에서 얻어온 값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late 키워드를 통해 값을 나중에 할당 받을 수 있다.(late 변수 생성 -> API 요청 -> API 값 리턴 -> late 변수에 값 할당) 더보기
Dart_4 : Final 변수 - 같은 타입이기만 하면 변수의 값을 수정할 수 있다. - 한 번 정의된 변수를 수정할 수 없게 만들 때 사용.- Final 키워드를 사용함으로써 변수의 값을 수정할 수 없게 된다.(* javascript와 typescript의 const와 동일하다.)  - 필수는 아니지만 final 키워드와 변수명 사이에 변수 타입을 넣어줄 수 있다.(* 변수 타입이 없어도 컴파일러가 알아서 타입을 추론해준다.) 더보기
Dart_3 : Nullable 변수 코드에서 null 값을 참조하려고 하면, 런타임 에러가 뜬다.(* 런타임 에러 : 사용자가 내 앱을 사용하던 중에 뜨는 에러) 1. String 타입의 매개변수를 받는 곳에 null을 전달.2. null에는 length라는 속성이 없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 이러한 에러는 컴파일러가 못 잡는 에러이기 때문에 사용자 기기에서 발생한다.(런타임 에러)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dart에서는 null satfety를 만들었다.* null saftey : 개발자가 null 값을 참조할 수 없도록 한다.   ※ dart에서는 어떤 변수가 null이 될 수 있음을 정확히 표시해야한다.name이 null도, string도 될 수 있다고 하려면 타입 뒤에 "?"를 넣어주면 된다. - dart의 null safety는.. 더보기
Dart_2 : Dynamic 타입 Dynamic Type : 여러가지 타입일 가질 수 있는 변수에 사용하는 키워드(* 사용을 추천하지는 않지만 때때로 유용하다. 정말 필요할 때만 사용.)(두 사진은 Dynamic 변수 선언 및 사용 방법이다.)    Dynamic이 필요한 이유 - 변수가 어떤 타입일지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특히 flutter나 json에서 작업할 때 그렇다.- name이 무슨 타입인지 모르기때문에 옵션이 적다.dart가 if문 안에서는 name이 String이라는 것을 알기때문에 name에 더 많은 옵션을 자동완성시켜준다. 더보기
Dart_1 : 변수 첫 번째 : 변수 타입을 구체화하지 않는 방법.- dart 스타일 가이드 권장 방식 : 함수나 매소드 내부에 지역 변수를 선언할 때에는 var를 사용한다. dart 컴파일러가 name이 String(문자열)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   두 번째 : 변수 타입을 구체화하는 방법- class에서 변수나 property를 선언할 때에는 타입을 지정해준다.  * 둘 중 어떤 방식을 사용하든 데이터 타입만 유지된다면 나중에 변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