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DNS(Domain Name System)
정의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실제 네트워크 인프라이다. 서버가 존재)
역할 :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주소(예: `google.com`)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예: `142.250.206.206`)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DNS 동작 순서
1. 원하는 이름의 도메인을 구매 후 IP와 함께, DNS 서버에 등록합니다.
2. 사용자가 도메인 명을 입력하면 DNS 서버는 도메인에 맞는 IP 주소를 반환합니다.
3. IP가 변경되면 DNS 서버에 등록된 IP 주소만 바꾸면됩니다.
4. 사용자는 IP주소의 형태가 아닌 `google.com`의 도메인 이름 형태로 웹에 접속합니다.
- 일반적으로 URL이라 알고있는 것이 바로 DNS를 활용한 예입니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 Uniform: 자원(Resource)을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을 의미한다.
- Resource: 자원(페이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파일 등)을 의미한다.
- Identifier : 식별자를 의미한다.
정의 : 인터넷 자원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자(Identifier)를 뜻합니다.
역할 : 웹의 특정 자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URI는 URL과 URN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예시 :
- `http://example.com` → 이건 URL이지만 URI이기도 합니다.
- urn:isbn:0451450523 → 이건 URL은 아니지만 URI입니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의 : 특정 자원의 위치(주소)를 나타내는 URI의 하위 개념.
역할 : 웹에서 자원이 어디에 있는지(주소)를 명확하게 알려줍니다.
특징 :
- 자원(Resource)의 위치를 의미합니다.
- 일반적으로 도메인주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 프로토콜을 포함합니다. (https://google.com)
한계 :
- 자원(Resource)의 위치를 변경하면 기존 URL은 사용할 수 없다. (link rot 현상)
- 브라우저 검색창에 구글이라고 검색하면 `http://example.com` 사이트가 노출된다.
- 만약 이 주소를 `http://example1.com`으로 바꾼다면 기존 경로를 아는 사람들은 검색 페이지의 URL이 업데이트 되지 않으면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URN이 등장하게 되었다.
URN(Uniform Resource Name)
정의 : 인터넷 자원을 `이름`으로 식별하는 방식입니다. 위치(URL)나 접근 방법이 아닌, 자체적으로 고유한 이름을 부여해 식별합니다.
특징 :
- 위치를 나타내지 않음 (URL은 "어디에 있다"를 말하지만, URN은 "이게 뭐다"를 말합니다.)
- 변하지 않는 고유 이름 (어떤 자원이라도, 위치가 바뀌어도 URN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고유하게 하나의 자원을 식별하지만, 그 자원이 어디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예시 :
- 책의 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번호
- 예 : `urn:isbn:9783161484100`
→ ISBN이 `9783161484100`인 책을 지칭하는 URN입니다.
- 예 : `urn:isbn:9783161484100`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서버 상태 관리의 두 방식: Stateless와 Stateful (0) | 2025.05.06 |
---|---|
[CS] 서버 성능 향상 전략: Scale Up과 Scale Out (0) | 2025.05.06 |
[CS] 포트(PORT) (0) | 2025.05.06 |
[CS] 3-Way Handshake (0) | 2025.05.05 |
[CS] TCP와 UDP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