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

[CS] 포트(PORT)

 

 

 

 

 


 

 

 

개요

TCP, UDP에서 포트를 통해 어떤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인지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 포트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포트(PORT)

운영체제(OS)가 여러 개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논리적인 통신 창구 번호입니다. (물리적 ❌)

  • IP 주소는 호스트(컴퓨터)를 식별
  • 포트 번호는 해당 호스트에서 실행 중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합니다.

즉, `IP 주소 + 포트 번호`로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정확히 지정합니다. (socket이라고도 합니다.)

 

 

 


 

 

 

포트 번호의 범위

TCP/UDP 각각 `0~65535 범위`

포트 범위 설명
0~1023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s)
운영체제나 주요 서버 서비스가 사용
예: HTTP(80), HTTPS(443), FTP(21), SSH(22)
1024~49151 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s)
일반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버 소프트웨어가 사용 가능
49152~65535 동적/사설 포트 (Dynamic/Private Ports)
클라이언트 측에서 임시로 사용
운영체제가 자동 할당

 

 

 


 

 

 

애플리케이션별 포트 예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포트 번호
HTTP TCP 80
HTTPS TCP 443
FTP TCP 21
DNS UDP 53
DHCP UDP 67, 68
SSH TCP 22
SMTP TCP 25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포트 사용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1.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임의의 동적 포트(예: 51544)를 열고,
  2. 서버의 TCP 80번 포트(HTTP)에 요청을 보냄
  3. 서버는 그 동적 포트로 응답을 돌려줌
클라이언트: 192.168.1.2:51544
서버:       142.250.206.132:80 (예: google.com)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서버 성능 향상 전략: Scale Up과 Scale Out  (0) 2025.05.06
[CS] 웹 주소 체계: DNS, URI, URL, URN  (0) 2025.05.06
[CS] 3-Way Handshake  (0) 2025.05.05
[CS] TCP와 UDP  (0) 2025.05.04
[CS] IP (Internet Protocol)  (0) 2025.05.04